- 1、本文档被系统程序自动判定探测到侵权嫌疑,本站暂时做下架处理。
- 2、如果您确认为侵权,可联系本站左侧在线QQ客服请求删除。我们会保证在24小时内做出处理,应急电话:400-050-0827。
- 3、此文档由网友上传,因疑似侵权的原因,本站不提供该文档下载,只提供部分内容试读。如果您是出版社/作者,看到后可认领文档,您也可以联系本站进行批量认领。
查看更多
한국 어문 규정집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머 리 말
돌이켜보면, 우리 민족은 지난 70 년 남짓한 동안 어느 문화 민족 못지
않게 어문 규범을 마련하고 다듬어 우리말과 우리글을 올바로 이끄는 일
에 정성을 쏟아 왔다. 실제로 1930 년대에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 년)과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1936 년)을 공표하
여 바람직한 우리 어문 생활의 토대가 될 지침을 마련하였다. 1970 년 초
부터 1980 년대에 걸쳐서는 달라진 어문 현실을 반영하여 그동안의 어문
규정을 약간 수정하는 한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1984 년), ‘외래어 표기
법’(1986 년)도 마련하였다. 하지만 1984 년에 고시된 ‘국어의 로마자 표기
법’은 쓰기에 불편한 점이 있어,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여 2000 년에 ‘국어
의 로마자 표기법’을 개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동안 어문 규범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국립국어원에서는 여러 가지로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아직도 어문 규범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
다. 그 까닭은 일반 국민들이 어문 규정에 무관심하기 때문이기도 하겠지
만, 한편으로는 각종 어문 규정을 누구나 손쉽게 찾아보기가 힘들기 때문
이라는 것도 부인하기 어렵다.
이에 국립국어원에서는 흩어져 있던 어문 규정들을 한데 모아 한 권의
책자로 펴내기로 하였다. 이 책을 발간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문 규정만을 작은 책자에 담아, 누구라도 언제 어디서나 손쉽
게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어문 규범은 교육, 언론, 출판을 비롯
한 모든 문화 생활의 바탕이 되므로, 이를 바르게 익혀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이 규정집은 국외 동포나 교포들에게 자칫하면 잊기 쉬운 우리말
의 규범을 익히고 간직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한국 어문과 문화를
이해하고 싶어하는 외국인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셋째, 규정과 용례(해설서의 용례도 포함함.) 사이에 약간 상충되거나 문
제가 되는 점에 대해서는 1994 년 국어 심의회에서 조정한 바 있는데,
그 결정 내용을 널리 알리기 위함이다.
넷째, 여러 어문 규정 사이에 체재나 용어 ․용법이 통일되어 있지 않은
것도 더러 있어, 이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이는 여러 어문 규정의 특성이
각기 다른 데다가, 이를 마련한 시기와 참여한 사람이 같지 않은 데서 생
긴 결과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조정은 최소한으로 줄여, 될 수 있으면 정
부 고시의 내용과 성격이 제대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다섯째, 민간 출판사에서 발간한 어문 규정집 중에는 1987 년 국어 심
의회 과정에서 삭제하기로 결정한 몇몇 용례들이 그대로 남아 있어, 이를
바로잡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국립국어원에서는 이 책에 ‘한글 맞춤법’(1988 년, 문
교부 고시 제88-1 호), ‘표준어 규정’ (1988 년, 문교부 고시 제88-2 호), ‘외래어
표기법’(1986 년, 문교부 고시 제85-11 호 / 1992 년, 문화부 고시 제1992-31 호 /
1995 년, 문화 체육부 고시 제1995-8 호 / 2004년, 문화관광부 고시 제2004-11 호
/ 2005년, 문화관광부 고시 제2005-32 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2000 년, 문
화 관광부 고시 제2000-8 호)을 한데 묶어 우리의 어문 규범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했으며, 모든 용례를 한자리에 모아 놓은 찾아보기를 마련하여 편
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래 ‘한국 어문 규정집’은 1995 년에 발간했던 것이나, 2000 년에 ‘국어
의 로마자 표기법’이 개정되고 2004 년과 2
文档评论(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