网站大量收购独家精品文档,联系QQ:2885784924

四声通解近代汉语阳声韵.pdf

  1. 1、本文档共24页,可阅读全部内容。
  2. 2、原创力文档(book118)网站文档一经付费(服务费),不意味着购买了该文档的版权,仅供个人/单位学习、研究之用,不得用于商业用途,未经授权,严禁复制、发行、汇编、翻译或者网络传播等,侵权必究。
  3. 3、本站所有内容均由合作方或网友上传,本站不对文档的完整性、权威性及其观点立场正确性做任何保证或承诺!文档内容仅供研究参考,付费前请自行鉴别。如您付费,意味着您自己接受本站规则且自行承担风险,本站不退款、不进行额外附加服务;查看《如何避免下载的几个坑》。如果您已付费下载过本站文档,您可以点击 这里二次下载
  4. 4、如文档侵犯商业秘密、侵犯著作权、侵犯人身权等,请点击“版权申诉”(推荐),也可以打举报电话:400-050-0827(电话支持时间:9:00-18:30)。
查看更多
四声通解近代汉语阳声韵

* 《 四聲通解》 에 반영된 近代漢語 陽聲韻의 변화 1) ** 朱星一 2) ◁목 차▷ Ⅰ. 서론 Ⅱ. 陽聲韻의 변화 1. 咸攝 2. 深攝 3. 山攝 4. 臻攝 5. 宕攝 및 江攝 6. 梗攝 및 曾攝 7. 通攝 Ⅲ. 결론 Ⅰ. 서론 近代漢語에 대한 어음연구가 韻類의 귀납에서 실제 음가의 고찰로 초점이 이동 하면서, 《 四聲通解》 (1517, 이하 《通解》로 약칭)의 학술적 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에서도 《通解》 에 대한 다양한 각도의 연구가 모색되고 있다. 조선 초기 訓民正音의 창제는 反切에 머물러 있던 중국 어음표기 방식에 일대 변혁을 가져왔으며, 《通解》는 이러한 역학사업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通解》 에 기록된 正音과 俗音 그리고 今俗音 등 세 부류의 한글 注 * 본 논문은 《 中國文學硏究》 45집(2011년 11월)에 발표한 四聲通解에 반영된 近代漢語 陰聲韻의 변화의 후속 연구로, 당시 논문에서는 陰聲韻을 주요 고찰 대상으로 하였으 며, 본 연구에서는 陽聲韻에 대한 고찰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연구 방법과 연구대 상 注音의 성질 및 표기방식에 대한 내용은 재삼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 명지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부교수 122 《 中國文學硏究》 ⋅제47집 音을 《 中原音韻》 (1324, 이하 《 中原》으로 약칭) 및 《重訂司馬溫公等韻圖經》 (약 1602, 이하 《 圖經》으로 약칭) 등 《通解》 전후 시기의 중국 북방 운서와 비교 분석 하여, 당시의 북방 중국어 陽聲韻의 변화 양상과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通解》의 22개 韻部(총 80韻) 중 陽聲韻은 총 11개 韻部(平上去 총33韻)로 각 韻의 正音에 표기하고 있는 中聲과 終聲은 다음 표와 같다.1) 韻母 韻 中聲2) 終聲 1 東董送 ㅜ/ㅠ[u/iu] - ᅌ[-ŋ] 2 眞軫震 ㅣ[i] -ㄴ[-n] 3 文吻問 ㅡ/ㅜ/ㅠ[ɨ/u/iu] -ㄴ[-n] 4 寒旱翰 ㅓ/ㅝ[ə/uə] -ㄴ[-n] 5

文档评论(0)

ailuojue + 关注
实名认证
内容提供者

该用户很懒,什么也没介绍

1亿VIP精品文档

相关文档